본문 바로가기
교사

초등 시간선택제 교사제도#1(대상, 사유, 방법)

by 김뉴스 2023. 2. 28.
반응형

시간선택제 교사란

전일제 교사와 동등한 자격과 지위를 가지는 정규직 공무원으로, 전일제 교사가 시간제 교사로 전환하여 학교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근무하는 교사입니다.

[전일제 교사와 시간선택제 교사 비교]

전환 대상

  - 공립학교 초등학교 교사 중 시간선택제 교사로의 전환을 희망하는 자

  ※ 교장, 교감, 수석교사는 전환 대상에서 제외

 

전환 사유

  - (육아)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 (가족간병) 사고 또는 질병으로 장기간 요양이 필요한 부모, 배우자, 자녀 또는 배우자의 부모를 간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 (학업) 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국내 교육기관에 입학재학하는 경우

  - (사회적응 능력 배양) 그 외 사회적응 능력 배양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전환 방법

  - (절차) 신청 → 인사자문위원회 자문  학교장 추천  임용권자 지정

 

  ※(제출서류) 시간선택제 근무신청서 및 전환 사유에 대한 증빙서류

- (육아)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 (가족간병)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본인과 간호대상자 간 관계가 나타나야 함), 진단서*

* 의료보험이 적용되는 병의원 또는 한의원에서 의료법17조에 따라 발행한 진단서로, 치료기간(이 기간 내에서 시간선택제 근무 가능) 및 간병인의 필요성 명시

- (학업) 학위 수여가 가능한 교육기관의 입학 확인서(합격증 등), 재학증명서 등

- (사회적응 능력 배양) 평생교육기관 수강 확인서(신청서 등), 사회적응 능력 배양 계획서*

* 인사자문위원회 및 임용권자가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도록 사회적응 능력 배양 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서와 함께 제출 가능

(심 의) 인사자문위원회에서 전환 사유 및 필요성 등을 검토하여 학교장 추천 여부를 자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