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PF│새마을금고 부도 가능성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3년 사이 90배 급증한 새마을금고 PF대출이 늘어나는 미분양에 부실 경고등이 들어왔다는 기사가 보도됐습니다. 기사를 접한 많은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해 오늘은 새마을금고 PF대출의 문제점과 새마음금고 부도 가능성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새마을금고 PF대출
새마을금고의 PF대출의 문제가 나온 이유는
1. 농협, 신협 등의 다른 금융기관은 정해진 모범규준에 따라 부동산, 건설업 공동대출의 합계액을 전체 공동대출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새마을금고에서는 2023년 4월부터 시행 예정으로 아직 적용되지 않은 상황
2. 일부 지역 새마을금고들은 부동산, 건설업 대출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악화로 미분양이 크게 증가하여 2023년 1월 말 연체액 1111억원으로 급증
3. 이러한 상황에서 새마을금고 중앙회는 리스크관리와 4월부터 시행 예정인 내규를 위해 지역 새마을금고에 대손충당금(현금) 확보 지시
4, 지역 새마을금고는 갑작스러운 조치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어 법원에 가처분 신청
이러한 상황에 새마을금고를 이용하던 예금자들은 최근 금융권 관련 불안한 마음에 예금을 급하게 인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확산되고 빨라지면 갑작스러운 현금 마련이 어려운 새마을금고는 뱅크런을 맞이하게 되고 부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2. │새마을금고 부도 가능성
새마을금고 부도 가능성과 관련해서
정부는 부동산 시장 불황에 따라 관련 대출의 연체가 증가하고 있으나,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입장이며,
새마을금고는 PF·공동대출 등은 선순위(우선 상환 대출)로 LTV가 60% 수준이라 연체 시 담보물 매각 등을 통해 충분히 회수가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또한,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는 시장상황에 따라 2022년 6월부터 대출취급 기준을 강화해 대출 금액과 비율을 조절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상호금융사로 2금융권에 속하는 새마을금고의 특성상 몇 개의 지점들이 모여 만들어진 법인들 마다 유동성, 자산 규모 등이 다르기 때문에 새마을금고를 이용한다면 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유동성, 자산 규모 등의 사항은 아래 링크의 MG 새마을금고 중앙회의 공식 홈페이지의
사업안내-전자공시-정기공시를 확인바랍니다.
https://www.kfcc.co.kr/gumgo/regulardisclosure.do
여러 가지 이슈를 흔들리는 세계 금융시장에서 무리한 예금보다는 예금자보호제도로 보호받을 수 있는 금액을 나눠서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중구 B04 재개발 삼성물산 현대건설 사업 제안서 (0) | 2023.04.16 |
---|---|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취득세 환급 방법 (1) | 2023.03.20 |
뉴홈 알아보기│나에게 맞는 공급 유형은? (0) | 2023.03.20 |
(2023. 3. 10.) 여수서교 행복주택 입주자 추가 모집 안내 (0) | 2023.03.10 |
[울산] 2023년 울산광역시 입주 물량(아파트) (0)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