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전기요금 조회│감면 방법
2023년은 전기요금을 비롯한 다양한 요금 인상으로 힘든 시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가스요금, 전기요금, 수도세가 벌써 올랐거나 앞으로 추가 인상을 앞두고 있는데요. 날이 점점 따뜻해지면서 벌써 여름의 에어컨 생각에 전기세 걱정이 들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스마트폰으로 한전 전기요금 조회하는 방법과 감면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한전 전기요금 조회
모바일 환경에서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한전 전기요금을 조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한전:ON이라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 초기에 로그인하는 과정이 필요해 번거롭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한 번 로그인을 해놓으면 주기적으로 전기 사용량을 통한 실시간 요금 조회를 할 수 있고, 월별 요금 조회로 가정의 전기 사용패턴을 한눈에 보실 수 있어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2. 전기요금 감면 방법
한전에서는 전기요금을 감면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한전에서 먼저 알아보고 요금 감면을 해주지 않아 꼭 신청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감면 대상은 대가족, 출산가구, 3자녀 이상가구, 장애인, 국가유공자, 생명유지장치 사용, 상이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독립유공자, 사회복지시설, 차상위계층이 있습니다.
그중 대가족, 출산가구, 다자녀가구 자격은
- 대가족: 가구원수가 5인 이상인 가구로 한 가구에 5명 이상이 주소지를 두고 있으면 가능합니다.
- 출산가구: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가 1인 이상 포함된 가구입니다.
- 다자녀 가구: 가구원중 자녀가 3인 이상인 기구입니다.
감면 금액: 해당월 사용 요금의 30%(16,000원 한도)
※신청일이 속하는 월 요금부터 적용
감면 신청은 인터넷, 모바일, 방문, 우편, 팩스로 가능합니다.
인터넷을 이용한 신청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가능하며,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F/A/CYFAPP0010102.jsp?sn=32
- 업무찾기 | KEPCO -
cyber.kepco.co.kr
아파트에 거주하신다면 간단하게 관리사무소에 방문해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 적용│2023년 대체공휴일 (0) | 2023.03.15 |
---|---|
에너지 바우처 잔액 조회 방법│에너지 바우처 잔액 조회 (0) | 2023.03.14 |
월례비│타워크레인 월례비│월례비 뜻 (0) | 2023.03.13 |
보훈캐릭터 이름 공모전 (0) | 2023.03.13 |
2023년 3월 울산페이 안내 (0) | 2023.03.11 |
댓글